자동차

자동차 검사 완전 정리 - 기아 레이

코리안좀비화이팅 2025. 3. 24. 15:31
728x90
반응형

자동차 검사
자동차 검사
자동차 검사
자동차 검사


목차
에필로그
1. 자동차 검사란?
2. 왜 자동차 검사가 필요할까?
3. 검사 과정은 어떻게 되나?
4. 기아 레이 자동차 검사
5. 레이 EV 자동차 검사
6. 꼭 알아둘 내용





에필로그

자동차 검사하니까 생각난 웃픈 일화가 있다. 
내가 타던 차를 친구한테 넘겼는데, 자동차 검사 받으라는 문자가 왔다. 
그래서 친구한테 자동차 검사 받았냐고 물어보니까 받았다고 했다. 
그랬는데 한 달 뒤에 또 문자가 온 거다. 
그래서 친구한테 자동차 검사 받으라고 또 문자 왔는데 안 받으면 벌금 낸다고 말했다. 
그랬더니 검사받았다고 뭔가 착오가 있나? 이러는 거다. 

그러고 나서 나는 잊고 있었는데, 그 친구한테 과태료 청구서가 나왔다고 연락이 왔다. 
자동차 검사를 받지 않아서 과태료 청구서가 날아왔다고. 
그래서 자동차 검사 언제 받았냐고 물어보니까 
나한테 차 받고 바로 가서 싹 검사했다고 하는 거다.
어디서 검사받았냐니까 00자동차 공식 서비스센터에서 받았다고 하는 게 아닌가.
 
아이고 머리야~ 
그 친구는 결국 삼십만원의 과태료를 물고 진짜 자동차 검사를 받아야 했다. 

설마 그걸 모를 거라고? 

정말 모를 수 있다는 걸 나는 왜 간과했을까...

 
이후

나는 비싼 식사로 친구에게 미안한 마음을 전했고, 
이 이야기는 우리 친구들 사이에서 회자되는 슬픈 전설로 남았다. 

두둥~








1. 자동차 검사란?
자동차 검사는 운전 중 안전사고를 예방하고, 환경오염을 줄이며, 
차량이 도로에서 정상적으로 운행될 수 있는지를 확인하기 위해 
정기적으로 차량의 상태를 점검하는 절차예요. 
우리나라는 [자동차 관리법] 제43조 등에 자동차의 정기 검사에 대한 규정이 법으로 정해져 있어서 
검사 미이행 시 과태료, 운행정지 등의 행정처분을 받을 수 있어요. 
차종이나 용도에 따라 다르지만,  
보통은 신차를 등록한 후 2년 또는 4년 주기로 정기 검사를 받게 되고, 
이후엔 1~2년에 한 번씩 검사받아야 해요.




2. 왜 자동차 검사가 필요할까?
 - 안전: 브레이크, 조향장치, 타이어 등이 제대로 작동하는지 점검해 사고를 미연에 방지할 수 있어요.


 - 환경 보호: 배출가스가 기준치를 초과하면 대기오염의 원인이 되기 때문에 이를 확인해요.


 - 경제성: 차량의 이상을 조기에 발견해 수리비 부담을 줄일 수 있어요.


 - 법적 의무: 검사를 받지 않으면 과태료가 부과되고, 계속 운행하면 범칙금까지 나올 수 있어요.





3. 검사 과정은 어떻게 되나?
 - 예약: 한국교통안전공단(TS) 홈페이지나 전화로 예약 가능해요. 민간 검사소에서도 검사받을 수 있어요.


 - 입고 및 접수: 차량을 검사소에 가져가서 접수해요. 신분증, 자동차등록증을 챙겨가세요.


 - 외관 점검: 번호판, 전조등, 와이퍼, 창문 등 눈에 보이는 부분을 점검해요.


 - 기능 점검: 브레이크, 조향, 속도계, 배출가스 등을 기계로 측정해요.


 - 결과 확인: 이상 없으면 ‘합격’, 문제가 있으면 ‘불합격’ 판정과 함께 수리 안내가 나와요.






4. 기아 레이 자동차 검사
 - 검사 주기 : 신차 등록 후 4년까지는 검사 면제,
   그 이후부터는 2년에 한 번씩 정기 검사를 받아야 해요.
   예: 2023년에 출고했다면 → 2027년에 첫 검사, 이후 2년마다 정기 검사.


 - 검사 항목 : 배출가스 검사, 제동 성능 검사, 등화장치 검사(전조등, 방향지시등 등 점등 확인), 

   하부 점검(오일 누유, 부식 여부 등)


 - 검사 비용 : 공단 검사소 기준 약 23,000원, 민간 검사소는 조금 차이 날 수 있음.


 - 검사 준비물 : 자동차 등록증, 본인 신분증 (대리 접수 시 위임장)


 - 기타 : 배터리나 브레이크 패드 수명 사전 점검, 

   계기판 경고등 (특히 엔진 경고등)이 켜져 있다면 무조건 검사 전 정비 먼저.





5. 레이 EV 자동차 검사
 - 검사 주기 : 전기차도 자동차관리법상 정기 검사 대상이고, 
   일반 레이와 같이 신차 4년간 면제 후 2년에 한 번씩 정기 검사


 - 전기차 검사 항목 : 조향장치(핸들), 제동장치(브레이크), 
   전조등/방향지시등 등화류 점검, 
   타이어/서스펜션(마모 정도, 정렬 상태 확인), 
   외형(고전압 시스템, 배터리 손상 여부, 배선 상태 등)
   * 전기차는 배출가스 검사 없음


  - 검사 비용 : 공단 기준 약 13,000원 내외(내연기관보다 검사 항목이 적어 비용도 저렴), 
    민간 검사소 조금 다를 수 있음.


 - 검사 전 확인 : 타이어 마모, 브레이크 패드, 워셔액 등 미리 점검, 
   경고등 켜져 있으면 무조건 정비 후 검사, 
   전기차 충전 잭/배터리 커넥터 부위 청결 등


 - 주의 사항 : 저공해차 혜택으로 과태료 감면이 있다고 생각하시는 분도 있지만, 
   정기 검사는 예외 없이 의무임. 
   검사 미이행 시 과태료 최소 2만 원~최대 30만 원까지 부과될 수 있음.





6. 꼭 알아둘 내용
 - 검사 유효기간을 꼭 확인하세요. 문자나 앱 알림 설정해 두면 좋아요.


 - 미리 엔진오일, 브레이크 상태, 전조등 등을 확인하면 불합격 위험이 줄어요.


 - 배출가스 관련 경고등이 뜬다면 정비 후 검사받는 게 좋아요.


 - 검사 후 발급되는 '검사 완료증'은 차량과 함께 잘 보관하세요.



자동차 검사는 귀찮을 수 있지만, 나와 가족, 이웃의 안전을 지키는 중요한 절차예요. 
조금만 신경 쓰면 오히려 장기적으로 비용도 줄이고 차량도 오래 탈 수 있어요.







자동차 검사
자동차 검사
자동차 검사
자동차 검사

 

728x90
반응형